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인천 도시철도 2호선에서 운행되는 전동차로, 현대로템과 우진산전에서 제작되었다. 2013년에 도입된 201~237편성은 1차 차량이며, 2021년에 도입된 238~243편성은 2차 차량이다. VVVF-IGBT 제어 방식을 사용하며, 2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최대 4량까지 연결 운행이 가능하다. 현재 검단오류역에서 운연역 구간을 운행하고 있으며, 207편성은 시운전 중 추돌 사고가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진산전의 철도 차량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는 서울 4호선에서 운행되며 VVVF 인버터 제어 방식과 스테인리스 차체를 최초로 채용하고 볼스터리스 대차와 LED 전광판 형태의 차내 행선 안내 게시기를 설치한 것이 특징으로, 현재 노후 차량 교체 작업이 진행 중이며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 구간에서 운행된다. - 우진산전의 철도 차량 -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수도권 전철 노선 운행용 직류 전용 전동차로, 1996년 일산선 개통과 함께 도입되어 설비 변경 및 추가 도입을 거쳤으며, 전두부 형상에 따라 3세대로 구분되고, 초기 도입분은 서울교통공사 전동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현재는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일산선 구간에서 운행된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산천
KTX-산천은 대한민국 고속철도 기술 자립을 위해 HSR-350x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0량 편성, 알루미늄 차체, 1,100kW급 유도전동기, 개선된 제동 장치, ATP/ERTMS 시스템 등을 갖추고 최고 시속 305km로 운행하며, 좌석 간 거리 확대 및 회전 좌석 등 승객 편의성을 개선하고 국산화율을 87%까지 높인 고속열차이다.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
---|---|
기본 정보 | |
![]() | |
차량명 |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사색 | #ED8B00 |
운행 단위 | 자동 |
운행량 | 2량 |
기동 가속도 | 3.96 |
영업 최고 속도 | 80 |
감속도 (통상) | 3.96 |
감속도 (비상) | 4.68 |
차량 정원 | 103명 |
편성 정원 | 206명 |
전체 길이 | 17,200 |
전체 폭 | 2,650 |
전체 높이 | 3,400 (1차 차량) mm |
전체 높이 | 3,600 (2차 차량) |
차량 중량 | 31.5t |
편성 중량 | 63.0t |
궤간 | 1,435 |
전기 방식 | 직류 750V |
구동 장치 | 삼상 교류 농형 유도 전동기 (스코다 제: ML3534 K/4형) |
모터 출력 | 95kW |
제어 장치 | IGBT 소자 VVVF 인버터 제어(스코다 제:TM 7.1) |
제동 방식 | 회생 제동 병용 |
제동 방식 | 전기 지령식 공기 제동 |
보안 장치 | CBTC |
제작사 | 현대로템 |
제작사 | 우진산전 |
상세 정보 | |
전동기 형식 | 스코다 ML 3534 K/4 |
차륜 배열 | Bo′Bo′+Bo′Bo′ |
설계 최고 속도 | 90 |
전동기 출력 | 95 |
용도 | 도시 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대차간 거리 | 11,600 |
구동 장치 | 농형 3상 유도 전동기 |
MT비 | 2M |
제작 연도 | 2012~2014년: 201~237 |
제작 연도 | 2021년: 238~243 |
운영 회사 | 인천교통공사 |
생산량 | 43편성 86량 |
사용량 | 43편성 86량 |
2. 도입 역사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1차 도입분은 현대로템에서, 2차 도입분은 우진산전에서 제작되었다. 두 도입분 모두 VVVF-IGBT(스코다)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2. 1. 1차 도입분 (2012년 3월 ~ 2014년 1월)
2016년 7월 30일 1단계 구간 개통 대비분으로 도입되었다. 현대로템에서 제작하였으며, 제어 방식은 VVVF-IGBT(스코다)이다. 운연차량사업소 소속으로 201~237편성이 있다. 2차 도입분이 도입됨과 동시에 4량으로 증차할 가능성이 있다.2. 2. 2차 도입분 (2021년 3월)
인천 도시철도 2호선에서 운행될 차량으로, 우진산전에서 제작한 운연차량사업소 소속 238~243편성이 도입되었다. 제어방식은 VVVF-IGBT(스코다)이다. 2량 1편성으로 운행되며, 출근시간대엔 4량 복합열차 편성이 가능하다.3. 특징
2량 1편성으로 구성되며, 2개 편성을 중련하여 4량 편성이 가능하다.[2] 비상시 안전을 위하여 안전요원[3]이 항상 탑승한다. 무인 운전 방식을 채택하여 운전실이 별도로 구획되어 있지 않으며, 열차 양 끝에 간이운전대가 설치되었다. 차량 가격은 1편성에 48억원(2량 기준)으로 책정되었다.
인천교통공사 2호선 개통에 맞춰 1차분 2량 37편성, 증비를 통해 2차분 2량 6편성이 제작되었다. 집전 방식은 의정부 경전철이나 부산-김해 경전철 등과 마찬가지로 제3궤조 방식이 채택되었다. 또한 차체는 기존의 통근형 차량에 비해 작은 경전철 차량이지만, 앞서 언급한 차량이나 우이신설선, 김포 도시철도 등 다른 경전철 차량보다 편성 길이가 길다.[1] 일반적으로 무인 운전이 이루어지지만, 운전사 자격을 가진 직원이 동승하며, 비상시에는 수동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부는 일반적인 전철과 같다. 차량의 선단부에는 수동 운전용 운전대가 설치되어 있지만, 자동 운전 시에는 격납되어 전면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체코의 슈코다제 VVVF 인버터를 탑재하고 있으며, 주행음은 헝가리의 부다페스트 지하철 차량과 유사한 소리가 난다.
4. 편성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검단오류역 방면의 2000호대와 운연역 방면의 2100호대의 2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승강장 길이는 4량 기준으로 건설되었으며, 최대 4량까지 연결 운행이 가능하다.[1]
차량 번호는 다음과 같다.
차량 번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지 시기 | 비고 | 차량 형태 |
---|---|---|---|---|
201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02 편성 | ||||
203 편성 | ||||
204 편성 | ||||
205 편성 | ||||
206 편성 | ||||
207 편성 | 2016년 5월, 시운전 중 추돌 사고가 발생했다.[1] | |||
208 편성 | ||||
209 편성 | ||||
210 편성 | ||||
211 편성 | ||||
212 편성 | ||||
213 편성 | ||||
214 편성 | ||||
215 편성 | ||||
216 편성 | ||||
217 편성 | ||||
218 편성 | ||||
219 편성 | ||||
220 편성 | ||||
221 편성 | ||||
222 편성 | ||||
223 편성 | ||||
224 편성 | ||||
225 편성 | ||||
226 편성 | ||||
227 편성 | ||||
228 편성 | ||||
229 편성 | ||||
230 편성 | ||||
231 편성 | ||||
232 편성 | ||||
233 편성 | ||||
234 편성 | ||||
235 편성 | ||||
236 편성 | ||||
237 편성 | ||||
238 편성 | 2021년 | 2차 차량 | ||
239 편성 | ||||
240 편성 | ||||
241 편성 | ||||
242 편성 | ||||
243 편성 |
1차 차량은 현대 로템에서, 2차 차량은 우진산전에서 제조되었으며, 2차 차량은 전면의 비상문이 폐지되었다.[1]
5. 배속
201~243편성은 운연차량사업소에 2량으로 배속되어 있다.[1]
차량 번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지 시기 | 비고 | 차량 형태 |
---|---|---|---|---|
201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02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03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04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05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06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07 편성 | 2013년 | 2016년 5월 | 시운전 중 추돌 사고 발생[1] | 1차 차량 |
208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09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10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11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12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13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14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15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16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17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18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19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20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21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22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23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24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25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26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27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28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29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30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31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32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33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34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35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36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37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1차 차량 | |
238 편성 | 2021년 | 운행 중 | 2차 차량 | |
239 편성 | 2021년 | 운행 중 | 2차 차량 | |
240 편성 | 2021년 | 운행 중 | 2차 차량 | |
241 편성 | 2021년 | 운행 중 | 2차 차량 | |
242 편성 | 2021년 | 운행 중 | 2차 차량 | |
243 편성 | 2021년 | 운행 중 | 2차 차량 |
6. 현재 운행구간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단오류 - 운연 구간에서 운행한다.[1]
7. 현황
차호 | 도입 시기 | 비고 |
---|---|---|
201 편성 | 2012년 | |
202 편성 | 2012년 | |
203 편성 | 2012년 | |
204 편성 | 2012년 | |
205 편성 | 2012년 | |
206 편성 | 2012년 | |
207 편성 | 2014년 | |
208 편성 | 2014년 | |
209 편성 | 2014년 | |
210 편성 | 2014년 | |
211 편성 | 2014년 | |
212 편성 | 2014년 | |
213 편성 | 2014년 | |
214 편성 | 2014년 | |
215 편성 | 2014년 | |
216 편성 | 2014년 | |
217 편성 | 2014년 | |
218 편성 | 2014년 | |
219 편성 | 2014년 | |
220 편성 | 2014년 | |
221 편성 | 2014년 | |
222 편성 | 2014년 | |
223 편성 | 2014년 | |
224 편성 | 2014년 | |
225 편성 | 2014년 | |
226 편성 | 2014년 | |
227 편성 | 2014년 | |
228 편성 | 2014년 | |
229 편성 | 2014년 | |
230 편성 | 2014년 | |
231 편성 | 2014년 | |
232 편성 | 2014년 | |
233 편성 | 2014년 | |
234 편성 | 2014년 | |
235 편성 | 2014년 | |
236 편성 | 2014년 | |
237 편성 | 2014년 | |
238 편성 | 2021년 | |
239 편성 | 2021년 | |
240 편성 | 2021년 | |
241 편성 | 2021년 | |
242 편성 | 2021년 | |
243 편성 | 2021년 |
참조
[1]
문서
null
[2]
웹인용
인천도시철도 2호선 차량
http://imrt2.hiconst[...]
2015-12-21
[3]
문서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